학교숲 녹화계획


학교녹화계획

(가) 특성 및 유형
○ 식물은 본질적으로 학생들에게 흥미를 주는 요소이다. 또한, 학생들의 놀이범위를 확대시키기고, 정적인 구조물과는 달리 토양, 물과 함께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식물의 잎, 꽃, 열매, 씨앗, 잔가지 등이 모두 학생들의 흥미요소이다. 따라서 학교옥외공간의 녹화는 단순히 환경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학생의 놀이와 교육적 측면을 고려하여 녹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부분의 학교는 건물의 전면부와 측면부, 운동장 주변에 소규모 화단이 조성되어 있을 뿐이므로 학생수에 비해 녹지공간이 부족하다. 도시내 오픈스페이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교는 도시생태적 측면에서도 학교녹화계획은 중요하다. 교목에 의한 위요공간은 모임, 휴식, 사회화를 위한 공간이 되고, 관목은 학생들이 자연환경과 접촉할 수 있는 친밀한 공간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학교옥외공간에 조성할 수 있는 공간과 숲의 유형은 다음 표와 같다.

표 6) 학교숲의 유형
유  형
특     징
경 계 부
․공동경계형과 단독경계형 숲으로 구분
․공동경계형 숲은 학교와 학교사이에 담장이 있는 경우
․단독경계형 숲은 학교가 도로, 주택가등과 경계를 이루는 경우
근린녹지형
․비탈숲과 야외숲으로 구분
․비탈숲은 학교외부 산림이 연결되어 비탈사면이 있거나 학교내부에 비탈면이 있는 경우에 조성
야 외 숲
․학교안과 밖에 숲이 남아있는 경우로 현재 있는 숲을 조절해 휴양공간으로 활용
․학교숲과 인접한 산림을 연결하는 것이 중요
모퉁이숲
․운동장의 모퉁이나 건물 주변 사각지대의 빈 공간에 조성
진입공간숲
․교문에서 본관 등 주요 건물까지 진입하는 공간에 조성
화 단 숲
․학교 건물 앞 뒤 또는 학교 외부에 화단을 숲으로 조성해 녹음을 제공
․건물에 인접한 화단의 경우 큰 상록수를 심어서 답답한 감을 주는 것을 피함
완충녹지
․학교 주변의 소음원에서 나오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성
․방음벽이 설치된 경우 방음벽 앞뒤로 숲을 조성할 수 있음
중정공간
․건물사이의 중앙에 있는 위요된 공간에 조성
․기존에는 거의 녹화가 되어있지 않은 장소임


(나) 계획지침
① 일반 원칙
○ 학교의 녹화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수목선정이나 공간구성에 대한 일반원칙은 다음과 같다.
- 향토수종이나 대기오염 물질 정화능력이 강한 수종을 선정한다.
- 자연형성과정에 의한 식재 및 다층적인 식생구조로 생태녹화를 실시한다.
- 공동채소원 또는 약초원을 조성한다.
- 조류, 곤충 등을 유인할 수 있는 수종이나 유실수를 식재한다.
- 도시 내에 남아있는 자연지역과 식물군집지역을 학교부지에 포함하여 녹지화한다.
- 야생동물의 은신처와 먹이 제공을 위한 식물을 식재한다.
- 파편화된 녹지가 아니라 매스(mass)로서의 녹지와 녹지간을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 자연지형을 살린 녹지를 조성하여 사면이나 절개지를 최소화한다.
-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개화시기, 꽃의 색, 가을철 단풍의 색채 등을 고려하여 식재한다.

② 학교녹화 방향
○ 학교옥외환경은 자연관찰과 체험학습의 장, 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의 장, 운동공간 및 놀이공간, 학생들이 애착을 가질 수 있는 큰 나무가 있는 공간, 장애인을 위한 공간, 학교 주변의 지역주민을 위한 공간, 환경교육의 장(場)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학교녹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 학교옥외공간을 활용한 자연관찰과 탐구학습 등의 학교 환경교육은 정규 교육과정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 학교 밖에서 자연관찰 등의 체험학습을 하기에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학교내 옥외공간에 자연관찰원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교재원과 자연관찰원 설치를 의무화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초등학교는 대규모 자연학습 공간을 조성하기에는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다양성이 풍부한 녹지 조성, 생울타리 조성과 교사벽면에 덩굴류 식재, 잡초원과 잡목림 조성, 얕은 연못 조성 등의 자투리땅 활용을 통해 학교부지의 협소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식재공간별 기준
- 교육적 효과를 고려하여 수목을 식재하고 휴게공간을 조성하여 지역주민에게도 개방한다.
- 학교운동장 외곽부와 유휴공지에 식재하여 지역의 거점녹지가 되도록 조성한다.
- 수목은 병충해가 적어야 하고, 가시돋은 나무나 유독성 나무는 심지 않도록 한다.
표 7) 식재공간별 식재기준
식재공간
식  재  기  준
경 계 부
․담장을 1m 이하로 낮추거나 없애고 낙엽교목, 상록교목을 심고 그 양쪽에 아교목, 관목의 순으로 배열
․울창한 느낌을 주고 차폐효과를 거두기 위해 교목 밑에 관목 식재
․수종은 내건성, 내음성, 내공해성 수종 선정
․경계의 일부가 옹벽으로 되어 있는 곳은 덩굴류로 처리
비 탈 숲
․비탈아래에 관목류를 심고, 그 아래에 교목류를 심거나 열식
․옹벽으로 끝나는 경우 옹벽에 덩굴식물을 식재하여 떨어뜨림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종, 향토수종 식재
야 외 숲
․수관형이 아름다우며 수관폭이 넓은 녹음수 위주로 식재
․운동장이나 건물에 가까운 곳은 꽃이 아름다운 관목류를 식재
모퉁이숲
․학교내부에는 관목, 밖으로는 교목을 심어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함
․건물의 벽면과 인접한 경우, 성목이 되었을 때를 고려하여 식재간격 유지
진입공간숲
․진입공간 주변에는 낙엽교목 또는 상록교목을 식재하여 녹음을 제공
․가장 이용빈도가 높은 지역이므로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숲 조성
화 단 숲
․건물에서부터 관목, 아교목, 교목, 아교목, 관목의 순으로 식재
․낙엽수를 심어서 여름에는 녹음제공, 겨울에는 햇빛을 최대한 흡수
완충녹지
․방음효과면에서 낙엽수보다는 가지와 잎이 치밀하고 키가 큰 상록수가 유리
․완충녹지 폭은 최소한 10m를 기준으로 가능한 한 넓게 조성
․방음벽에 덩굴류를 올릴 경우 밧줄이나 철망, 나무망을 설치하고 식재
․내건성, 내공해성, 내열성 수종 선정
중정공간
․낙엽수를 식재하여 여름에는 녹음을 제공하고, 겨울에는 일조를 최대한 확보
․수종은 건물에 의한 일조량이 적은 공간이므로 내음성이 강한 수종 선정

④ 녹화대상별 방법
○ 학교녹화의 중요한 공간으로는 자연관찰원과 비오톱 등 생물서식공간이 있다. 각 녹화대상별로 녹화방법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대상별 녹화방법은 다음 표와 같다.
표 8) 학교녹화계획 대상과 기준
대  상
방                   법
자연관찰원
․식물 및 동물을 관찰하고 직접 접촉하는 공간으로서 생물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심화하는 학습‧교육의 장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양호한 기존의 녹지환경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생    물
서식공간
․학생들이 가까이 생물과 접할 수 있도록 조성
․모든 생물이 아니고 특정의 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현실적임
․잠자리 연못이나 투구벌레 정원같이 상징적인 것으로 조성
․다양한 녹지환경을 살려서 정비하며, 생물서식환경의 계승‧유지가 중요
․잔디 대신 야생초화류가 무성한 공간으로 조성
․지도교사의 육성이나 체제조성과 함께 구성할 필요가 있음






실용녹화


실용녹화

(가) 유형 및 특성
○ 학교에서 조성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실용녹화 방법은 채소원 등의 텃밭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채소원은 야채 등의 생산과 소비, 그리고 학교쓰레기를 퇴비화하여 쓰레기 재활용을 도모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우량 표토의 확보나 식물의 증발산 작용에 의하여 미생물을 보호하고, 우수침투에 의한 지하수의 함양과 미기후를 개선하는 등 학교환경의 생태적 건강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 또한, 학생들은 학교내 채소원에서 씨뿌리기에서부터, 식물이 성장하는 과정, 토지관리, 수확, 가공, 조리, 먹는 것까지 모든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체적인 체험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연에 대한 인식의 증대와 함께 환경감수성이 증대될 것이다. 채소원과 같은 학교내의 텃밭공간에서는 낙엽과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쓰레기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과 자원의 순환(recycling)에 대한 학습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나) 계획기준
○ 채소원은 채소를 비롯한 유실수를 식재하고, 약초원을 함께 설치할 수 있다.
○ 자연학습원과 연계하여 설치하면 학생들을 위한 환경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 채소원은 대규모 공간의 할애보다는 학교 자투리 땅을 활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용가능한 토지가 제한적인 경우 베란다, 옥상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 채소원에는 관수가 필수적이므로 수원(水源)이 되는 하천 또는 연못과 인접 배치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 도시지역에 위치한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먹거리 생산과정을 보여줄 수 있도록 작물을 재배하고, 농촌지역의 경우 그 지역의 특산물을 중심으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토수종의 식재


향토수종의 식재

(가) 개념 및 특성
○ 다양한 수종들은 나름대로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학교녹화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지역의 환경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종을 가장 쉽게 선정하는 방법은 그 지역에 자생하는 향토수종을 활용하는 것이다. 향토수종은 그 지역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식물이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정체성을 높이는 등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 계획지침
○ 다양한 수종들은 오랜 세월동안 자연환경에 적응해 오면서 각 수종마다 생태적 특성에 맞는 환경조건을 가진 지역에 분포하게 된다.
○ 지역별 분포수종을 파악하고, 그 지역의 향토수종을 식재하는 것이 지역환경에 잘 적응하고 하자율(瑕疵率)도 줄일 수 있다.
○ 향토수종을 식재하면 주변의 경관과도 잘 조화되는 식재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 남부수종의 경우 생육한계선을 파악하여 기온조건 등 식재적합성을 파악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연적인 환경조건에서는 분포하지 않는 수종도 관리가 된다면, 식재지역이 더 추운 지역까지 넓어질 수 있다.
○ 향토수종의 식재시에는 상층, 중층, 하층을 모두 고려하여 다층구조가 되도록 식재하는 것이 생태적으로 바람직한 식재방법이다.
○ 향토수종의 식재는 비료, 농약살포로 인한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겨울철 수목관리를 위한 비용을 줄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학교녹화계획방법이다.
표 1) 층위별 자연식생(중부지방)
층  위
수      종
상  층
갈참나무, 산벚나무, 굴참나무, 팥배나무, 느티나무, 음나무, 밤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상수리나무, 느릅나무, 산뽕나무
중  층
때죽나무, 단풍나무, 진달래, 물푸레나무
하  층
국수나무, 조록싸리, 청가시덩굴, 참싸리, 노박덩굴, 참빗살나무, 두릅나무, 담쟁이덩굴, 나무딸기, 인동덩굴, 병꽃나무


표 2) 지역별 분포수종
지    역
분  포  수  종
남부동해안
곰솔 + 전국공통 Ⅰ, Ⅱ형
중남부 내륙산악형
계수나무, 은행나무, 구상나무, 독일가문비나무, 금송 + 전국공통 Ⅰ, Ⅱ형
중부평지 다우형
전국공통 Ⅱ형
중부서해안형
전국공통 Ⅰ, Ⅱ형
남부서해안형
곰솔, 호랑가시나무, 피라칸사스, 광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남부평지다우형
계수나무, 은행나무, 구상나무, 곰솔, 독일가문비나무, 호랑가시나무, 피라칸사스, 광나무 + 전국공통 Ⅰ,Ⅱ형
대구분지형
계수나무, 은행나무, 구상나무, 금송, 독일가문비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남해안형
곰솔,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식나무, 호랑가시나무, 피라칸사스, 광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제 주 도
구상나무(한라산),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식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울 릉 도
후박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전국공통 Ⅰ형
피나무, 모감주나무, 주목, 미선나무, 해당화, 인동덩굴, 맥문동, 도라지, 천일홍, 샤스타데이지, 느릅나무, 물푸레나무, 가중나무, 쉬나무, 참빗살나무, 참중나무, 보리수나무, 박태기나무, 붉은병꽃나무, 병아리꽃나무, 무궁화, 말발도리, 부용, 사철나무, 금테사철, 은테사철, 이대, 으름덩굴, 등나무, 담쟁이덩굴, 으아리, 잔디
전국공통 Ⅱ형
회화나무, 소나무, 조릿대, 칠엽수, 솔송나무, 서양측백, 연필향나무, 화백, 잣나무(울릉도, 제주도 제외), 황매화, 명자나무, 개동청목, 꽃잔디

표 3) 자생식물의 계절별, 꽃색에 의한 분류

흰색계
노랑색계
붉은색계
둥글레, 남산제비꽃, 노루귀, 돌단풍, 바위취, 산작약, 풀솜대, 홀아비꽃대, 애기나리, 윤판나물, 은방울꽃, 흰민들레, 흰젖제비꽃, 모데미풀, 민백미꽃, 노랑무늬흰붓꽃, 광대수염 등
노랑제비꽃, 동의나물, 양지꽃, 민들레, 돌나물, 복수초, 애기똥풀, 피나물, 좀씀바귀, 금마타리, 괭이밥, 금새우난, 노랑붓꽃, 뱀딸기, 솜방망이, 금윤판나물 등
백선, 쥐오줌풀, 앵초, 큰앵초, 벌깨덩굴, 산달래, 긴병꽃풀, 깨깽이풀, 왜제비꽃, 꿀풀, 자란, 금낭화, 고깔제비꽃, 뻐꾹채, 알록제비꽃, 처녀치마, 할미꽃, 제비꽃, 골무풀, 붓꽃, 금란초, 조개나물, 땅비싸리, 광대나물 등
여름
흰매발톱꽃, 기름나물, 꿩의다리, 삽주, 약모밀, 초롱꽃, 참취, 톱풀, 까치수염, 터리풀, 장구채, 옥잠화, 부추, 바디나물, 전호, 누룩치, 눈개승마, 단풍취 등
원추리, 물레나물, 미나리아재비, 좁쌀풀, 돌양지꽃, 딱지꽃, 뱀무, 매미꽃, 벌노랑이, 기린초, 솔나물, 금불초, 금방망이, 곰취, 바위채송화, 마타리 등

꽃창포, 이질풀, 상사화, 노루오줌, 분홍바늘꽃, 석잠풀, 금꿩의다리, 하늘나리, 땅나리, 부처꽃, 참나리, 층층이꽃, 엉겅퀴, 메꽃, 패랭이꽃, 왜성술패랭이, 제비동자꽃, 동자꽃, 냉초, 꼬리풀, 비비추, 두메부추, 용머리, 범부채, 섬초롱꽃, 산오이풀, 지리터리풀 등
가을
낙동구절초(구절초류), 물매화, 바위솔,뚝갈, 천궁 등
감국, 털머위, 미역취, 조밥나물, 산국 등
꽃무룻, 둥근잎꿩의비름, 꽃향유, 용담, 층꽃, 벌개미취, 쑥부쟁이, 해국, 백양꽃 등
겨울
(상록성 자생식물)
맥문동, 꽃무룻, 자금우, 송악, 털머위, 마삭줄, 순수조릿대, 차나무, 인동, 석창포, 왜성술패랭이, 백화등, 처녀치마, 춘란, 속새, 바위손, 부처손, 고사리류(상록성), 석위, 도깨비부채, 구실사리, 멀꿀나무, 민병초 등

표 4) 용도별 식물구분
용  도
식  물  명
화단용
털머위, 용머리, 앵초, 미역취, 애기솔나물, 조개나물, 돌마타리, 도라지, 하늘매발톱, 노루귀, 할미꽃, 솔나리, 말나리, 참나리, 노루오줌, 개상사화, 백양꽃, 용담, 칼잎용담, 터리풀, 섬초롱꽃, 자주꽃방망이, 냉초, 금낭화, 물솜방망이, 자란, 섬기린초, 애기원추리, 갯취, 층꽃나무, 은방울꽃, 한라구절초, 낙동구절초, 서흥구절초
지피용
눈개쑥부쟁이, 한라구절초, 털머위, 흰갈풀, 곰취, 왜성산솜방망이, 미역취, 우산나물, 솔나물, 돌나물, 산지구엽초, 두메부추, 윤판나물, 좀비비추, 말나리, 섬말나리, 개맥문동, 매미꽃, 제주양지꽃, 흰젖제비꽃, 금낭화, 청나래 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 공작고사리, 부처꽃, 금불초, 꽃향유, 큰산꼬리풀, 냉초, 피나물, 원추리, 둥글레, 범부채, 애기기린초, 기린초, 벌개미취, 백리향, 섬백리향, 층꽃나무, 좀개미취, 일월비비추, 왜생술패랭이, 좀비비추, 감국, 마삭줄
실내정원용
소엽맥문동, 개맥문동,털머위, 섬노루귀, 매미꽃, 줄무늬맥문동, 매미꽃, 마삭줄
절개사면녹화
벌개미취, 구절초, 한라구절초, 낙동구절초, 둥근잎꿩의비름, 땅채송화, 돌마타리, 층꽃나무, 큰꿩의다리, 산국, 감국, 원추리, 기린초
암석원
둥근잎꿩의비름, 땅채송화, 할미꽃, 해국, 섬기린초, 돌단풍, 바위취, 기린초, 애기기린초, 두메부추, 백리향, 섬백리향, 층꽃나무
도로변 척박지녹화
벌개미취, 구절초류, 꽃향유, 왜성술패랭이, 산국, 감국, 원추리, 애기원추리, 붓꽃, 큰산꼬리풀, 층꽃나무, 개미취, 좀개미취, 하늘매발톱
호안조경용
창포, 돌나물, 흰갈풀, 미나리아재비, 부처꽃, 금불초, 꽃창포, 왜성꽃창포, 소새, 참좁쌀풀, 석창포, 물솜방망이, 벌개미취, 털머위, 노루오줌, 석장풀, 박하, 원추리
수생식물
갈대, 달뿌리풀, 창포, 세모고랭이, 부들, 물억새, 애기부들, 줄, 속새, 흑삼릉, 매자기
방향성식물
초롱꽃, 좀씀바귀, 달래, 산마늘, 참나물, 곰취, 개미취, 꽃향유, 자주꽃방망이, 배초향, 왜성술패랭이, 구절초, 감국, 백리향, 섬백리향, 산부추, 참산부추, 쑥, 창포, 솔나물, 파드득나물, 미나리
울타리방음벽
담쟁이, 송악, 줄사철, 마삭줄, 인동, 으름덩굴, 멀꿀, 사위질빵
해안식재
갯기름나물, 기린초, 부처꽃, 산국, 층꽃, 해국, 순비기나무, 해당화, 왕갯쑥부쟁이, 땅채송화, 도깨비부채, 원추리, 참나리

표 5) 식재위치별 자생식물 이용
식재지역
특성 및 수종
상록수아래
․교목 상록성 수목의 하층식재는 상록성수종은 식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작은 면적의 소나무 군식지역 : 벌개미취, 원추리, 용머리, 붓꽃, 구절초, 섬초롱꽃
․넓은 면적의 녹음이 짙은 군식지역 : 산거울, 범부채, 비비추, 춘란 등
낙엽활엽수아래
․개화기에는 양지성, 개화 후에는 음지성인 수종 선정
․앵초, 금낭화, 복수초, 꽃무릇, 맥문동류, 매미꽃, 피니물, 노루귀, 수선화, 은방울꽃
도로분리대 및 녹지대
․차량통행이 많아 분진, 매연, 바람에 강한 수종 선정
․음지와 양지가 공존하는 지역이므로 수종 선정을 융통성있게 함
․양지지역 :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벌개미취, 붓꽃, 원추리, 민들레, 수크렁, 섬기린초, 용머리, 돌나물, 흰갈풀
․반음지 및 음지지역 : 비비추, 범부채, 옥잠화, 맥문동, 석창포, 마삭줄, 송악
보행섬, 가로화단
․교통량이 많고 복사열에 의해 건조화가 쉬운 지역
․건조에 강하고 키가 작은 수종 선정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원추리, 민들레, 기린초, 붓꽃, 층꽃 등
절개지역
․절개지는 건조지, 적습지, 습지가 공존하는 지역이므로 선정시 유의
․자생식물 종자를 Seed Spray하여 녹화 가능
․건조지 : 구절초류, 쑥부쟁이류, 층꽃, 기린초,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수크렁
․적습지 : 원추리, 붓꽃, 인동, 까치수염, 범부채, 옥잠화, 비비추
․습지 : 꽃창포, 벌개미취, 부처꽃, 금불초, 흰갈풀
․Seed Spray 가능종 : 감국, 구절초, 꽃향유, 솔나물, 쑥부쟁이, 수크렁, 띠, 왜성술패랭이, 애기똥풀 등
공간이 넓은 잔디밭의 화단
․양지식물로 건조에 강하고 개화기간이 긴 식물
․잎이 처지거나 마르는 현상 없이 오래 유지되는 수종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원추리, 구절초, 쑥부쟁이, 할미꽃
연못, 습지, 호안주변
․조류, 어류, 곤충의 서식환경 형성에 도움을 주는 수종
․수질정화 및 수중저토층의 토양개량에 적합한 수종
․토사유출을 막고, 수변경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수종
추수식물
․수중의 토양에 뿌리를 내려 수면보다 높게 잎을 신장시키며 생태적 기능, 호안보호, 수변경관 형성
․서식유속범위 : 0.05~0.4m/s
․송이고랭이, 세모고랭이, 올방개, 갈대, 줄, 큰고랭이, 부들류, 도루박이, 창포, 혹삼릉, 방울고랭이, 매자기, 달뿌리풀, 물억새, 택사, 노랑꽃창포 등
부엽식물
․수면아래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잎과 줄기는 수면위에 신장
․호수의 부영양화 예방, 어류의 산란 및 치어의 성장에 도움
․서식유속범위 : 0~0.2m/s
․노랑어리연꽃, 수련, 왜개연꽃, 자라풀, 어리연꽃, 마름, 순채, 가래, 물여뀌, 연, 가시연꽃, 네가래
침수식물
․수중의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잎과 줄기가 수중에서 성장
․수질오염이 심하면 적응하지 못하며 조류와 어류의 먹이 역할
․서식유속범위 : 0~1.5m/s
․나사말, 검정말, 물질경이, 말즙, 말, 줄말, 나자스말, 물수세미
식생호안
․수위증감과 유속에 의한 훼손이 우려되므로 식재후 착근, 활착할 수 있는 수종
․수변경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수종
․수변 : 갈대, 물억새, 달뿌리풀, 창포, 큰고랭이, 노랑꽃창포, 도루박이, 매자기, 흑삼  릉, 방울고랭이, 택사, 부들, 줄 등
․수변과 둔치사이 : 누운갯버들, 흰갈풀, 붓꽃, 꽃창포, 부처꽃, 석창포, 골풀 등
․둔치 : 갯버들, 수크렁, 벌개미취, 금불초, 흰갈풀, 꽃창포, 부처꽃, 왕원추리 등
방음벽, 담장 펜스, 벽면 등
․방음벽, 담장 등 입면 : 담쟁이덩굴, 줄사철, 마삭줄, 능소화, 백화등, 송악
․펜스, 철구조줄 등 : 인동, 멀꿀, 으름덩굴, 노박덩굴, 댕댕이덜굴, 계요등, 후추등, 오미자, 머루, 개머루, 새머루, 등칡, 다래, 하늘타리, 사위질빵, 으아리, 할미질빵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