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콤포스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콤포스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지렁이 사육장

지렁이 사육장
○ 지렁이를 비롯한 습지 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갖추어 사육하고, 이들의 생육 환경 특성을 관찰하도록 한다.
○ 사육장 설치
○ 땅을 30cm 정도 파고 흙을 깔아 준 뒤 가마니를 2겹 정도 덮어 준다(이때 흙은 채집 장소와 같은 환경의 것으로 준비하도록 한다).

지렁이 채집
○ 서식 환경 : 오염되지 않은 땅에 햇빛이 들지 않고 습기가 많으며 유기물이 많은 곳에 산다.
○ 두엄 부근, 하수도 부근, 산길 부근, 부추밭 등에서 위와 같은 환경이 맞으면 볼 수 있다. 채집 지역의 생활 환경에 따라 다른 종류의 지렁이를 볼 수 있다.
○ 채집 방법 : 삽으로 흙을 파엎어 찾아내되 지렁이의 몸이 잘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지렁이를 구하기 힘든 도시지역에서는 이끼를 담은 숨구멍이 있는 용기에 담겨 있는 지렁이를 낚시점에서 구입하면 10일 정도까지는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지렁이의 크기는 생김새, 환대 등을 관찰할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 한다.

지렁이 사육
○ 채취한 지렁이를 사육장에 넣으며, 양옆에 벽돌을 쌓아 도망가지 않도록 한다.
○ 지렁이 먹이가 마르는 일이 없도록 스프레이로 물을 뿌려 준다.
○ 양식 지렁이를 구입하여 사육하고자 할 때 지렁이 먹이로는 우분과 제지 슬러지를 발효시킨 것을 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 지렁이는 깨끗할 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 유익한 생물임을 주지시켜 관찰하는데 혐오감이 없도록 한다.

활 용
○ 지렁이를 교실로 공급하여 지렁이의 생김새, 움직임 등을 관찰한다.
○ 자율 탐구 등 계속적인 관찰을 하고자 할 때, 지렁이 사육을 하면서 지렁이의 한해살이 등 변화 과정을 조사할 수 있다.
○ 채집지역에 따른 지렁이의 종류를 환대 모양 (말안장 모양, 반지 모양), 강모의 수(9개 이상, 8개의 강모가 근접한 것과 떨어진 것), 체절수 등에 의해 나누어 볼 수 있다.
○ 이때 지렁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증류수에 에테르를 20% 정도 섞어 마취시킨 후 관찰하도록 한다.
○ 책가방 없는 날이나 과학반에서 야외 학습으로 지렁이 집모양을 수지(Resin)로 만들어 보아도 좋을 것이다.
○ 지렁이는 항암, 항균제 및 해열 진통제, 간치료제 등 의학, 식품에 이용은 물론 화장품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 지렁이 분뇨는 산성 토양을 중화시켜 토양을 개량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식물에 필요한 양분을 다량 함유하여 작물에 대한 증수 효과가 있다.
○ 지렁이 분뇨는 계분이나 토분과 달리 냄새가 없어 아파트 등 실내에서 화분 재배시 가정 원예용 배지로 이용된다.

퇴비 생산 및 재활용

 퇴비처리장(Compost system)

4101. 콤포스트 장(퇴비 생산 및 재활용)
○ 잡초·낙엽 등을 퇴적하여 부숙(腐熟)시킨 비료를 통칭하는 곳으로서 학교숲내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토양을 개량하고 친환경적인 비료를 생산하는 장소로서 음식물 쓰레기, 숲 가꾸기 부산물 등을 재활용 처리하는 장소이다.
○ 계절에 따라서 재료를 입수할 수 있는 것은 다르지만 만드는 재료는 낙엽(침엽수 제외), 가마니 부스러기, 잡초, 생활 쓰레기, 볏짚, 풀, 작물의 찌꺼기 등이 있다.
○ 이것들은 조금씩 모아서 임시로 쌓아 둔다. 모은 순서대로도 되지만 가급적 날풀과 마른 식물을 엇갈리게 쌓고, 음식물의 찌꺼기들을 이 사이에 섞어 넣는다. 
○ 임시 쌓기의 무더기로 노천에 방치해 두어도 되지만 어느 정도 모인 다음에는 정식 쌓기를 한다. 야적해 놓은 재료는 그냥 방치해 놓아도 언젠가는 자연 발효되어 아래쪽부터 흙에 가까운 퇴비가 만들어지지만, 비바람에 노출되어 양분이 적어지는 외에 퇴비로 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
○ 효율적으로 많은 양분을 지닌 퇴비를 만들기 위해 쌓아올리기, 뒤집기를 되풀이하는 방법을 취한다. 재료를 잘 밟아 놓는다. 청초가 많을 때는 가볍게, 건초가 많을 때는 잘 다져 밟은 상태에서 30cm 두께로 한다.
○ 그 위에 석회나 깻묵 등의 첨가물을 얹는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물의 양으로, 낙엽이나 볏짚부스러기만일 깨는 밑에서 물이 스며나올 정도로 물을 준다. 그 적절한 물의 가감은 첫번째 뒤집기 때의 상태로 판단하고 기억해 둔다.

4102. 정식 쌓기
○ 3~4일 후가 되면 발효열로 인해 퇴비는 평균해서 60~70℃ 정도가 되지만 2주일 후에는 다시 온도가 내려간다.
○ 여기서 첫 번째 뒤집기를 한다. 뒤집기를 하는 장점은 산소를 공급하고 수분조절을 하여 발효를 촉진시켜 재료를 고르게 하는데 있다. 이때, 수분이 많은 곳과 적은 곳을 뒤섞고, 수분이 많아 너무 축축하면 흙이나 퇴비 재료를 더 넣고 너무 적으면 물을 보충한다.
○ 다시 비닐을 덮어 두면 2일 후에는 온도가 올라가고, 그 후 2주일마다 그 일을 되풀이 하면 열의 상승은 없어진다.
○ 완성된 퇴비는 덮어 놓아 양분이 빗물 등에 의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 퇴비는 원칙적으로 완숙된 것을 쓴다. 미숙한 것이거나 날 것을 넣고 곧 작물을 가꾸면 전반적으로 병충해에 걸리기가 쉽다. 흙 위에 놓는 것이라면 미숙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고구마나 감자, 토란 등은 그다지 만감하지가 않아, 짚이며 청초를 그대로 사용해도 거기서 나오는 열을 이용하는 수도 있다.

4103. 퇴비의 사용법
○ 부엌에서 나오는 찌꺼기나 쓰레기는 그 처리 과정에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처리되고 있다. 흙에서 얻은 것을 다시 흙에 돌려 보내는 활동이 콤포스트 장이다.
○ 날 찌꺼기 중에는 어분 대신이 되는 생선찌꺼기나 석회비료와 같은 작용을 하고 계란껍질 등, 퇴비에 넣으면 좋은 것이 많이 있다. 소금기가 많은 것을 제외하면 어떤 것이라도 쓸 수가 있다.

4104. 콤포스트 장 설치
○ 콤포스트 장은 숙성되는 과정에서 높은 열과 영양분이 소실될 수 있으므로 규정된 장소가 필요하다.
○ 콤포스트 장은 경관에 반하는 장소가 될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과 조화가 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한다.
- 퇴비상자
- 재료 : 방부목(50x100mm),  철물 원형목재, 합판 등
- 규격 : 1,000x1,000mm 목재 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