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톱의 개념
○ 비오톱은 매우 포괄적인 개념으로 생물이 서식하고,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영어권에서는
Biotope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말로는 흔히 ‘생물서식공간’, ‘소생물권’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흔히 비오톱을 보존가치가 있는 생물군집
서식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사실상 보다 포괄적이고 가치 중립적인 개념으로 보존가치와 상관없이 모든 생물군집 서식지를 비오톱이라고 할
수 있다.
○ 비오톱을 조성하는 것은 훼손되기 이전의 생태계를 고려하고 생물서식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되며, 생태 복원이라는
개념이 도입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녹화라는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녹화와 비오톱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표
14 녹화와 비오톱의 차이점
구
분
|
녹
화
|
Biotop
|
수
목
|
가로수, 정원수로 하기 위해 전정
|
그 지역에 자생하는 종을 중요시함
|
생
물
|
식물의 종류가 단순하여 해충이 발생하기 쉬움
|
많은 생물이 생활함
|
낙
엽
|
긁어모아서 태우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증가됨
|
자연그대로 퇴비가 되어 순환함
|
표
토
|
노출되어 딱딱하게 건조하고 흙 속에 양분과 생물이 적음
|
잡초나 낙엽에 덮여 부드럽고 양분이나 땅속 생물이 많음
|
식물식재
|
원예종이나 외국종이 많음
|
자연림이나 들에 있는 것으로 복원
|
잡
초
|
제거
|
작은 동물이 살기 좋은 장소로 되고 먹이로도 중요
|
연
못
|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움
|
수초가 나고 깊이나 형태도 변화가 많음
|
○ 또한 비오톱은 열대어의 수조나 동물원 같은 곳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의도에 따라 사육되는 것과는 달리 모든
생물종마다 다른 본능을 가지고 활동하며 살아가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간에서 생물들이 본능의 요구에 따라 먹이를 찾고, 성장하며 자손을
끊지 않고 갖가지 삶의 영위를 반복하는 것이 비오톱의 기본적인 본질이다.
2002. 비오톱 조성의
기본사항
○ 비오톱의 조성은 도심에서 더욱 절실해지는데 이는 도심의 생태계가 구조적, 기능적으로 매우 훼손되었기 때문이다.
도시 생태계 및 환경의 복원은 곧 도시의 건전성과 연결되는 사항으로 도심의 건전성을 높이는 방안중의 하나로 비오톱 조성이 제시되고 있다.
○ 특히 학교의 경우 공간 확보의 용이성과 구성원의 높은 참여도, 환경개선 효과 등의 특징을 내재하고 있어
비오톱이 조성된 후 생태적, 교육적, 지역적으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2002.1. 식물수종의 구성
1) 대상지의 식생복구 목표에 적합한 식물
2) 지역의 자생식물
3) 환경형성 작용이 뛰어난 식물(토양내 유기물 형성, 질소고정작용 등)
4) 대량생산이 가능한 식물
5) 경관형성가치가 높고 교육적 가치가 높은 식물
6) 야생동물에 대한 식이성이 높은 식물
2002.2. 조성장소
○ 도시내 재개발지역, 신주거단지, 공원, 학교내 교원, 도시내 방치된 유휴지, 쓰레기 처리장 등 공간활용도가
높은 지역에 비오톱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생태적 안정성 확보와 경관향상 및 토지이용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교에 조성되는 비오톱은 소규모 비오톱을 위주로 하여 다양한 생물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